오늘의 주제
•
교차분석 심화 편_식음료 카테고리 조사 예시
#분석대상 #분석단위 #식음료조사예시
Data Talk: 드래그 앤 드롭으로 쉽게 교차분석표 만들기
새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질문으로 Data Talk를 시작하고자 해요. 이전 시간에도 살펴보았는데요, 교차분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 브랜드가 공략해야 할 소비자를 찾고, 필요한 전략과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함으로 알고 있어요.
맞습니다.
전략을 세우기 위해 파악하고 싶은 정보가 담긴 문항과 해당 문항을 쪼개 보고 싶은 기준(성, 연령, 특정 문항 응답자 등)을 각각 분석 대상과 분석 단위로 설정해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이 교차분석이에요.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 한 마케터가 프리미엄 이어폰을 출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소비자군을 찾는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분석 대상, 즉 전략을 세우기 위해 파악하고 싶은 정보가 담긴 문항은 다음과 같아요.
•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이어폰 브랜드를 선택해 주세요. (이용 현황)
•
향후 프리미엄 이어폰 브랜드를 구입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구매 의향)
•
이어폰을 구매할 때 최대 지불할 의향이 있는 금액은 얼마인가요? (구매 금액)
•
이어폰을 구매할 때 가장 신경 쓰고 있는 기능은 무엇인가요? (구매 시 주요 고려 사항)
위 문항을 쪼개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줄 수 있는 분석 단위로는 다음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
성별, 연령 등 인구 통계학적 변수
•
헤비 유저/라이트 유저, 주 구입 채널 등 행동 변수
•
가격 민감도 등 니즈 변수
교차분석으로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찾기 위해서는 설문 설계 단계부터 어떤 목적으로 조사를 할 건지 미리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겠네요!
네, 문항을 설계하면서부터 모든 걸 고려해야 해요.
분석 대상이 되는 문항은 조사 목적과 수립하고자 하는 전략에 따라 결정이 돼요. 즉, 해당 문항을 묻는 목적이 뚜렷해야 해요. 반면 데이터를 무엇으로 쪼개서 볼지를 의미하는 분석 단위는 조사 목적뿐만 아니라 산업군(카테고리)에 따라서도 달라져요.
아래에서 식음료 카테고리를 예시로 살펴볼게요. 오픈서베이 경험이 담긴 재미있는 포인트가 많으니 끝까지 집중해주세요! 참고로 다음 시간에는 이커머스 카테고리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식음료 카테고리 교차분석 200% 알아가기
식음료 카테고리에서는 무엇을 분석 단위로 설정할 수 있을까?
•
연령·성별만으로 교차분석을 해도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그러나 식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결혼 여부, 동거하는 가족 여부, 자녀 여부 등으로 소비자 세그먼트를 나누고 이를 분석 단위로 삼는다면, 연령·성별만을 분석 단위로 했을 때보다 더 명확한 타깃층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오픈서베이에서는 식음료 카테고리 관련 조사를 할 때 아래 분석 단위를 이용하기도 해요.
소비자 생활 환경을 고려한 분석 단위는 왜 필요한가요?
•
식음료 카테고리를 분석할 때는 각 소비자의 생활 환경을 고려해서 분석 단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왜일까요? 식사를 함께 준비하고 같이 먹을 사람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하는 음식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같은 20대 미혼이라고 해도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면 집밥 위주의 식생활 패턴을 보이는 반면, 혼자 거주하는 20대 미혼은 간편식 혹은 배달 음식을 더 많이 소비할 수 있습니다. 또, 어린 자녀가 있다면 시간이 없더라도 직접 요리를 해 먹는 집이 더 많을 수도 있어요. 동시에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온라인 구매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죠. 이런 변수를 모두 고려해 식음료 카테고리의 분석 단위를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외에도 설문조사 목적과 분석 대상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석 단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식음료 카테고리 교차분석 예시 살펴보기
•
그럼, 오픈서베이에서 이용하고 있는 분석 단위를 활용해 교차분석 예시를 몇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한 사람이 100번 식사한다고 가정할 때 평균적으로 사람들은 내식
가정간편식(라면, 밀키트 등)
외식
배달/포장 순으로 자주 이용함을 알 수 있어요.
•
그러나 분석 단위 중에서 미혼 세그먼트를 비교하면 부모님과 함께 동거하지 않는 미혼 나홀로족은 가정간편식을 먹는 비중이 가장 높았고, 부모님과 함께 동거하는 미혼 캥거루족은 나홀로족보다 내식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어요.
•
그렇다면 먹는 음식 종류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예시 1의 표와 함께 봤을 때 내식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미혼 세그먼트와 기혼/20~30대 커플은 양식, 분식 등을 다양하게 먹지만, 한식을 먹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반대로 주로 내식을 많이 하는 기혼 자녀 가정은 3번 중 2번꼴로 한식 취식 비중이 월등히 높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