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결과 요약 탭] 객관식 단일형·중복형·순위형 한 번에 알아가기

오늘의 주제
객관식 단일형·중복형·순위형 문항은 어떻게 다를까?
객관식 문항은 어떻게 분석하면 좋을까? #기타보기 #객관식순위형

Data Talk: 결과 요약 탭은 문항별 결과를 어떻게 제공하고 있을까 ( 객관식 문항 편)

새미
안녕하세요!
지난 Data Talk 시간에는 주관식 문자형주관식 숫자형에 관해 자세히 알 수 있었어요. 덕분에 앞으로 주관식 문항의 결과 데이터는 잘 분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번 시간에는 어떤 문항 유형을 알아갈 수 있을지 기대가 되네요!
오픈애널리틱스 팀(OA 팀)
새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에게 익숙한 객관식 문항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객관식 문항은 제시된 여러 보기 중에서 응답을 선택하는 문항이에요. 문항 유형은 3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새미
3가지로 나누는 기준이 있나요?
OA 팀
하나의 문항에서 선택할 수 있는 보기 개수 혹은 보기를 선택하는 순서에 따라 객관식 단일형, 객관식 중복형, 객관식 순위형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① 객관식 단일형
객관식 단일형은 제시된 보기 가운데 한 개만 선택할 수 있는 문항 유형이에요.
예시) 다음 보기 중 A 제품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능을 하나 선택해주세요.
② 객관식 중복형
객관식 중복형은 제시된 보기 가운데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는 문항 유형이에요.
예시) 다음 보기 중 A 제품을 구매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능을 모두 선택해주세요.
③ 객관식 순위형
객관식 순위형은 제시된 보기 가운데 선호하는 순서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서 등, ‘순서’를 정해 여러 개의 보기를 선택하는 문항 유형이에요.
예시) 다음 보기 중 A 제품을 구매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능을 순서대로 3개 선택해주세요.
객관식 문항을 분석할 때 어떤 점을 신경 써야 하는지, 또 오픈애널리틱스는 객관식 문항의 응답 데이터를 어떻게 보여주고 있는지 아래 코너에서 자세히 알아보아요!

객관식 문항 200% 알아가기

객관식 문항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보여줘요

객관식 단일형
문항 결과 화면 상단에서 총 응답수를 확인할 수 있어요.
보기별 응답률과 응답자 수는 원형·도넛형·가로막대형·세로막대형 차트 중 선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객관식 단일형은 응답자가 1개의 보기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기별 비율의 합계는 100%입니다.
차트 오른편에는 ‘기타’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가 직접 쓴 답변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요.
객관식 중복형
문항 결과 화면 상단에서 총 응답수를 확인할 수 있어요.
보기별 응답률과 응답자 수를 가로막대형·세로막대형 차트 중 선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중복형은 복수 응답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기별 비율의 합계가 100%를 넘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모든 응답자가 3개의 보기를 모두 선택해야 하는 중복형 문항이면 보기별 비율의 합은 300%가 돼요. 응답자가 보기를 3개 이내로 자유롭게선택하는 조건이라면 보기별 비율의 총합은 100~300% 사이가 됩니다.
차트 오른편에는 ‘기타’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가 직접 입력한 답변도 확인할 수 있어요.
객관식 순위형
문항 결과 화면 상단에서 총 응답수를 확인할 수 있어요.
보고 싶은 순위까지 선택해 N순위까지 누적된 보기별 응답 결과를 가로와 세로막대형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응답 1순위는 가장 진한 색으로 표시되고, 순위가 낮을수록 차트의 색이 옅어져요.
우측에는 ‘기타’ 보기를 선택한 응답자가 직접 쓴 답변도 확인할 수 있어요.

응답 결과를 분석할 때 이건 꼭 확인해보세요

객관식 문항에서 기타 보기의 선택 비율을 함께 살펴봐요
보기가 잘 구성되었다면 일반적으로 ‘기타’ 응답 선택 비율은 10% 이내가 됩니다. 그러나 아래 예시와 같이 ‘기타’ 보기 선택 비율이 10% 이상이면 다음 2가지 중 어디에 해당하고, 또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해요.
1.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나 브랜드명을 묻는 문항에서 10% 이상 나온 경우 이 경우 해당 제품과 브랜드가 워낙 다양해 보기로 모두 구성하지 못했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품목이 많은 화장품이 이 경우에 해당해요. 이럴 때는 기타 보기 응답 가운데 공통적인 답변이 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해요. 그리고 전체 응답 수의 3% 이상인 응답이 있다면 해당 응답도 다른 보기처럼 보기화해서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선택한 것이나 선호하는 것에 대한 이유를 묻는 문항에서 10% 이상 나온 경우 응답자의 시각에서 중요한 이유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한 채 보기를 구성했을 확률이 높아요. 이럴 때는 기타 보기를 살펴본 후, 빠진 보기를 다시 추가해서 새로 응답을 받는 것(리타겟팅)이 더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는 방법이에요.
기타 보기 비율의 문제는 객관식 단일형에서 비교적 많이 생겨요. 객관식 중복형과 순위형은 보기를 여러 개 선택할 수 있어 선택하고 싶은 보기가 하나 없더라도 다른 보기를 고를 수 있기 때문이에요.
객관식 순위형 문항은 1순위, 1~2순위, 1~3순위 등의 누적 결과를 서로 비교해서 보면 좋아요.
1~N 순위의 누적 결과를 서로 비교해볼 때 어느 보기에 유의미한 포인트가 있는지 발견할 수 있어요. 만약에 무선 이어폰을 새로 개발한다면 아래 순위형 문항은 어떻게 분석하면 좋을까요? 우선 1순위 응답 비율로만 결과를 봤을 때 음질·가격·휴대폰과의 무선 연결 이 3개의 보기가 다른 보기에 비해 선택 비율이 훨씬 높다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그런데 1~3순위 누적 선택 비율로 본다면 여전히 음질·가격·휴대폰과의 무선 연결이 선택 비율이 가장 높지만 4위인 배터리 용량에 관한 보기 비율 또한 39%(390명)로 3위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에 무선 이어폰 시장에 음질과 가격 면에서 이미 강점을 가진 브랜드가 존재한다면, 후발 브랜드로서는 무선 연결 기능이나 배터리 용량을 제품 차별화 포인트로 가져가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데이터와 친해지기 퀴즈

14번 객관식 순위형 문항을 1순위, 1~2순위, 1~3순위로 변경해 결과를 확인해보세요.

반드시 2개의 보기를 선택해야 하는 객관식 중복형에서 보기별 선택 비율의 총합은 200% 미만이다. (O / X)

누르고 정답 확인하기